목록전체 글 (442)
나의 잡다한 노트 및 메모

**OLTP(Online Transaction Processing)**와 **OLAP(Online Analytical Processing)**는 데이터베이스 활용 관점에서 서로 다른 목적과 특징을 가진 두 가지 대표적 워크로드(Workload) 유형입니다.아래에서는 각각의 정의, 특징, 대표적인 사용 사례, 그리고 서로 다른 점을 자세히 정리해보겠습니다.1. OLTP(Online Transaction Processing)1) 개념OLTP는 주로 온라인 서비스/업무에서 발생하는 실시간 트랜잭션을 처리하는 데 초점을 맞춘 시스템입니다.예: 전자상거래 주문 처리, 은행 계좌 이체, 항공권 예약, 증권 매매 등.2) 주요 특징트랜잭션 지향(ACID 보장)데이터를 다루는 과정에서 원자성(Atomicity), 일관..

1. 배경서버 간 통신(East-West 트래픽)의 증가과거에는 주로 클라이언트(외부) ↔ 서버(내부) 통신이 많아서, 코어 네트워크의 North-South 트래픽만 잘 처리하면 충분했습니다.그러나 마이크로서비스, 분산 컴퓨팅, 빅데이터 처리 등이 보편화되면서, 서버 ↔ 서버 간 트래픽이 폭증(East-West)했습니다.확장성과 대역폭 요구데이터센터 내 서버가 수백~수천 대 이상으로 늘어나면서, 각 서버가 동등하게 고대역폭, **낮은 지연(latency)**으로 통신할 수 있는 네트워크 구조가 필요해졌습니다.전통적인 3계층(Access–Distribution–Core) 방식으로는 Distribution/Core 구간에 병목이 생길 수 있어 유연한 확장이 어려웠습니다.균등한 레이턴시대규모 클러스터에서 특정..
이 두 용어는 데이터센터, 클라우드, 기업 네트워크 등에서 트래픽의 흐름을 설명할 때 자주 사용되며, 각각의 특징과 관리 방식이 다릅니다. 1. North-South 트래픽개념North-South 트래픽은 주로 데이터센터(또는 내부망)와 외부 인터넷 간의 트래픽 흐름을 의미합니다.쉽게 말하면, 외부 사용자(클라이언트)와 내부 서버(웹 서버, API 서버 등) 사이의 입출력 트래픽입니다.주요 특징방화벽 및 보안 장비: 외부와 내부를 구분하는 경계에 위치한 방화벽, IDS/IPS, DDoS 방어 시스템 등에서 주로 처리됩니다.로드 밸런싱: 외부로부터 들어오는 요청을 여러 내부 서버로 분산하는 로드 밸런서를 통해 관리합니다.DMZ 구성: 외부에 공개해야 하는 서비스(웹 서버, 메일 서버 등)는 DMZ(비무장지..
전통적 네트워크 설계의 관행이란, 가상화·클라우드·컨테이너가 보편화되기 이전에 물리 서버와 물리 네트워크 장비 중심으로 기업 데이터센터를 설계·운영하던 방식을 주로 가리킵니다. 이 시절의 설계 패턴은 계층적 네트워크 구조, VLAN을 통한 물리적·논리적 구분, 하드웨어 중심의 보안·로드밸런싱 등을 특징으로 합니다. 아래에서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1. 계층형(Hierarchical) 네트워크 아키텍처과거(그리고 지금도 여전히 많이 쓰이는) 데이터센터 네트워크는 3계층 구조로 나누는 것이 전통적인 설계 관행이었습니다.Access Layer (접속 계층)실제 서버(물리·가상), PC, 프린터 등 최종 단말들이 스위치 포트에 직접 접속하는 계층.일반적으로 **랙 스위치(Top of Rack Switc..
내가 현재 다니고 있는 회사에선 사수도 없고 경험도 없는 신입이다보니 대부분을 gpt에게 물어보면서 하는 편이다. 제목은 내가 질문한 것이고, 본문은 그에 대한 답변이다.좀 더 공부해볼만한 용어들이 있어 복붙했다. 회사 환경마다 차이는 있지만, 일반적으로 사내 네트워크에서 하나의 서브넷에 클러스터(또는 분산 시스템)를 구성하는 사례가 많이 있습니다. 다만, 꼭 하나의 서브넷만 사용하는 것이 절대적인 규칙은 아니고, 프로젝트 규모나 보안 정책, 네트워크 설계 철학 등에 따라 여러 서브넷으로 나누거나, VLAN이나 Overlay 네트워크 등을 사용하는 경우도 충분히 있습니다.아래에서는 왜 “하나의 서브넷을 쓰는 경우가 많은지”와 “여러 서브넷 혹은 다른 방식”을 쓰는 경우는 어떤 상황인지 정리해보겠습니다.1..
서비스 레지스트리 : 클러스터 내에서 '누가 현재 리더인지', '어떤 노드가 어떤 역할을 맡고 있는지' 등을 어디엔가 기록해두고, 참여자들이 필요할 때 참조할 수 있게 하는 기능을 포괄적으로 일컫는다. 예를 들어, Hasicorp의 Consul, etcd, zookeeper 등이 서비스 레지스트리로 자주 사용된다. zookeeper의 경우를 예로 들면.... “Active Master”가 결정되면, 해당 Master는 자신의 주소(host:port) 또는 “현재 마스터가 누구인지”에 대한 정보를 ZooKeeper에 기록(등록)합니다.이후 Spark Worker들은 주기적으로 ZooKeeper에서 “현재 Master가 어디에 있는지”를 조회하거나, 이벤트 알림(Watch)을 통해 변경을 감지하여 새로운 M..
**Service Discovery(서비스 디스커버리)**는 동적으로 변화하는 분산 환경(특히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에서, 애플리케이션들이 서로 위치를 파악하고 통신하기 위해 사용하는 기법/시스템을 말합니다. 예컨대, 각각의 마이크로서비스가 실행 중인 IP/포트 또는 엔드포인트 URL을 자동으로 등록하고, 찾아 쓸 수 있게 하는 과정 전반이 서비스 디스커버리입니다.아래에서는 개념, 필요성, 대표 패턴과 구현 방식, 그리고 실제 사례 등을 단계적으로 설명하겠습니다.1. 왜 서비스 디스커버리가 필요한가?동적 스케일링컨테이너 기반이나 클라우드 환경에서 서비스는 자동으로 스케일 업/다운 됩니다.이때 서비스 인스턴스(IP, 포트)가 실시간으로 바뀌기 때문에, 클라이언트가 서비스의 위치를 하드코딩하면 곤란합니다...
**분산 시스템에서 애플리케이션 광고(application advertising)**는 애플리케이션이 자신의 존재, 기능 또는 제공하는 서비스를 시스템 내의 다른 구성 요소나 애플리케이션에게 알리는 방법과 과정을 의미합니다. 이는 서비스 디스커버리(서비스 탐색)의 중요한 부분으로, 분산 시스템 내에서 하드코딩된 구성이 없이도 동적으로 서로를 찾고 통신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아래에서는 주요 개념과 예시를 통해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주요 개념서비스 디스커버리 (Service Discovery)광고(Advertising): 애플리케이션이 시작될 때, 자신이 제공하는 서비스의 위치(예: IP 주소와 포트)와 관련된 메타데이터(서비스 종류, 버전 등)를 서비스 레지스트리나 디스커버리 서비스에 등록함으로써 자신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