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주식&세금 (6)
나의 잡다한 노트 및 메모
Earnings Before Interest, Taxes, Depreciation, and Amortization의 약자한글로는 "이자, 세금, 감가상각비, 상각비 차감 전 이익"이라고 표현할 수 있습니다. 주요 개념목적:EBITDA는 기업의 핵심 영업활동으로부터 발생하는 수익성을 측정하기 위한 지표입니다.재무구조나 회계상의 차이가 기업 간 비교에 영향을 주는 부분(이자 비용, 세금, 감가상각비, 상각비)을 제외하여 순수한 영업 활동의 성과를 파악하려는 목적입니다.구성 요소에서 제외하는 항목:이자(Interest): 기업이 부채에 대해 지불하는 비용세금(Taxes): 기업의 소득에 부과되는 세금감가상각(Depreciation): 유형자산(예: 기계, 건물 등)의 가치 하락분상각(Amortization)..
EPS(Earnings Per Share, 주당순이익)은 기업이 벌어들인 순이익(Net Income)을 주식 수(보통주 발행주식 수)로 나눈 값으로, 주식 한 주당 얼마만큼의 이익을 창출했는지를 보여주는 지표입니다. 투자자가 해당 기업의 수익성을 빠르게 파악할 때 많이 활용됩니다.1. EPS의 정의주당순이익(Earnings Per Share): 기업의 당기순이익을 보통주 주식 수로 나눈 값EPS=순이익 (Net Income)보통주 발행주식 수 \text{EPS} = \frac{\text{순이익 (Net Income)}}{\text{보통주 발행주식 수}}EPS=보통주 발행주식 수순이익 (Net Income)의의: 기업이 주식 한 주당 얼마나 이익을 냈는지를 보여주므로, 주식 투자자들이 기업의 ‘수익 창출..
financial statements : 재무제표 consolidated : 연결statements of operations : 손익계산서unaudited: 미감사three month ended: 분기 말net sales : 매출products : 제품 매출services : 서비스 매출total net sales : 매출 총계 operating expenses : 영업비용selling, general and administrative : 판매비와 관리비 operating income : 영업이익other income : 기타 수익income before provision for income taxes : 세금차감전이익provision for income taxes : 세금net income : 순이익 ..
미국 주식을 분류하는 기준은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다음과 같은 분류 방법들이 자주 쓰입니다.1. 시가총액(Market Capitalization)에 따른 분류대형주(Large Cap): 일반적으로 시가총액이 100억 달러(약 10조 원) 이상인 기업. 예) 애플(Apple),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 아마존(Amazon) 등중형주(Mid Cap): 시가총액이 대략 20억 달러~100억 달러 사이인 기업소형주(Small Cap): 시가총액이 대략 3억 달러~20억 달러 사이인 기업마이크로캡(Micro Cap): 시가총액이 3억 달러 미만인 기업시가총액 분류 기준은 투자자, 분석기관 등에 따라 조금씩 다를 수 있지만, 대체로 위와 같은 범위가 자주 쓰입니다.2. 투자 스타일(Style..
**숏 커버링(short covering)**은 주식 시장에서 공매도 투자자가 포지션을 청산하기 위해 주식을 다시 매수하는 행위를 말합니다. 이는 공매도로 빌린 주식을 반환하기 위해 필요한 과정입니다. 공매도(short selling)는 주가 하락을 예상하고 주식을 빌려서 판 뒤, 나중에 더 낮은 가격에 다시 사서 차익을 얻는 전략입니다. 하지만 예상과 다르게 주가가 오르면 투자자는 손실을 줄이거나 포지션을 강제 청산하기 위해 매수하게 되는데, 이를 숏 커버링이라고 합니다. 숏 커버링의 작동 원리공매도의 기본 구조:공매도 투자자는 주식을 빌려 시장에서 판매(공매도)합니다.이후 주가가 하락하면 더 낮은 가격에 주식을 사서 빌린 주식을 반환하고 차익을 얻습니다.숏 커버링 발생:주가가 예상과 달리 상승하면,..
금리는 돈의 가격을 의미한다.돈을 빌리거나 빌려주는 데 드는 비용, 돈을 예치하거나 투자했을때 받는 수익률. 금리의 기본 개념대출자 입장에서의 금리:은행이나 금융기관에서 돈을 빌릴 때 지급해야 하는 이자의 비율.예: 대출금리, 모기지 금리.예금자 입장에서의 금리:은행에 돈을 예치했을 때 받는 이자의 비율.예: 정기예금 금리.투자자 입장에서의 금리:채권 등 투자 상품에서 발생하는 수익률.예: 국채 금리, 회사채 금리.금리의 주요 유형기준금리:중앙은행(예: 한국은행, 미국 연준)이 설정하는 정책 금리.다른 모든 금리의 기준이 되며, 경제 정책의 도구로 사용됩니다.시장금리:금융 시장에서 자금 수급 상황에 따라 결정되는 금리.예: 국채 금리, 회사채 금리.고정금리와 변동금리:고정금리: 대출 또는 투자 기간 동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