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DevOps/리눅스 (37)
나의 잡다한 노트 및 메모
리눅스에서는 따로 마운트를 해주지 않으면 장착된 디스크를 사용하지 못한다.메뉴얼파티션 설정파티션 설정 명령어: fdisk /dev/sd? (fdisk를 통해 설치된 /dev의 물리적 장치를 위의 명령어로 확인해야한다. )GPT partition 테이블로 설정하는 것 잊지말기. n으로 파티션을 생성하기 전에 GPT 테이블로 설정하자여기서 m을 눌러 메뉴얼을 읽어보는 것이 좋다.디스크 정보 확인 명령어 : fdisk -l 저장장치 포맷포맷 명령어 : mkfs.ext4 /dev/sd? 그리고 마운트를 해준다.(언마운트 하는 명령어는 umount)df -h를 통해 정상적으로 마운트가 됐는 지 확인해보자. 마운트 명령어 : mount /dev/sdd1 /sdd2마운트 포인트를 원하는 곳에 폴더를 생성해 지정한다...
포스팅은 안하고 공부만 했지만 복습한다는 차원에서 포스팅을 해보려고 한다. # whoami 현재 로그인한 사용자가 누구인지 확인하는 명령어 # 사용자 추가 명령어 adduser 또는 useradd 형식은 adduser 옵션은 -d : 홈 디렉터리 변경 -g : -G : 으로 사용자의 그룹을 지정할 수 있다. sudo cat /etc/passwd 명령어를 통해 사용자 정보가 담긴 파일을 cat 으로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명:비밀번호:사용자 ID:그룹 ID:코멘트:홈 디렉터리:기본 쉘 # 사용자 삭제 userdel # 사용자 설정 변경 설정이라 함은 홈 디렉터리, 비밀번호, 그룹명 등을 뜻한다. 실행 형식 : usermod 옵션 -d : 홈 데릭터리 변경 -g : 그룹 id 변경 -p : 비밀번호 변경 #..
리눅스에는 다양한 디렉터리가 많이 존재하는데 각각 무슨 역할을 하는지 적어볼 것이다. / : 루트 디렉토리로, 전체 파일 시스템의 시작점이다. /bin : 필수적인 사용자 바이너리가 저장된다. 예를 들어 ls, cp 등의 명령어가 여기에 포함된다. /sbin : 시스템 바이너를 저장한다. 시스템 관리와 관련된 명령어가 있다. /etc : 시스템의 설정 파일들이 위치한다. 사용자 계정 정보, 부팅 스크립트, 서비스의 설정 파일 등이 포함된다. /dev : 디바이스 파일들이 위치한다. 리눅스에서는 하드웨어 장치를 파일로 취급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dev/sda 는 첫 번째 SATA 하드 드라이브를 나타낸다. /proc : 가상 파일 시스템으로써 실행 중인 커널 및 프로세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v..
apt를 업데이트하는데 disco Release does not have a Release file 이라고 에러가 뜨는 경우엔 그 리눅스 버전이 오래되서 그렇다고 한다. 그래서 /etc/apt/sources에 들어가 sources.list file을 수정해야한다. deb http://old-releases.ubuntu.com/ubuntu disco main restricted deb http://old-releases.ubuntu.com/ubuntu disco-updates main restricted deb http://old-releases.ubuntu.com/ubuntu disco-security main restricted 뒤에 disco main restricted로 구별해서 archive. 이..
과제로 리눅스를 사용해야해서 바탕화면에 있는 버츄얼 박스 실행파일을 클릭했는데 위 제목과 같은 에러가 떴다. 아래 방법은 내가 구글링을 하며 시도해본 방법들이니 참고하시길 바란다. 1. Visual studio C++ 2013버전 재배포 패키지 다시 깔기 구글링을 하니 가장 먼저 보이는 포스팅에서 이 방법을 알려주었다. 나는 이것때문에 고쳐지진 않았지만... 이 방법도 해보면 좋을 것 같다. 2. cmd를 관리자모드로 실행해서 sfc /scannow 입력 Windows 명령어라 Mac은 잘 모르겠다. 어쨌든 cmd에 똑같이 치게되면 복구를 시작한다. sfc가 System File Checker의 약자이다. 말그대로 시스템 파일중에 오류가 난 부분을 탐지하고 복구를 해주는 명령어다. 나는 이 2번 방법을 ..
자주 쓰이는 command-line tools and shell utilities에 대해 공부해보고 작성할 것임. wget World Wide Web get의 약자이다. 웹 서버로부터 콘텐츠를 다운로드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유틸리티이다. HTTP, HTTPS, FTP 프로토콜을 지원하며, 재귀적 다운로드 기능이 있어서 함께 연결된 모든 리소스도 다운로드 할 수 있다. 그러니까 웹에 연결된 이미지나 파일 같은걸 다운로드 한다는것이다. 또한, POST 메소드를 할 수 있어서 웹사이트에 정보를 보낼수도 있다. 이것과 비슷한 기능을 하는 것이 curl 이다. curl wget과 같이 웹 서버로부터 콘텐츠를 다운로드하기 위한 도구이다. 주로 API와의 상호작용이나 웹 컨텐츠의 다운로드/업로드에 사용된다. 대부분의 ..
PAM(Pluggable Authentication Modules)의 약자로 인증 모듈이다. 리눅스 시스템에서 사용자의 인증을 담당하는 모듈. PAM은 네 가지 모듈로 구성돼있다. 1. authentication module : 비밀번호, 공개 키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신원을 확인하는 모듈 2. account module : 계정 만료, 시간, 특정 서비스 접근 권한 등 인증 조건을 검사하는 모듈 3. password module : 비밀번호 갱신, 비밀번호 복잡도 등을 설정하는 모듈 4. session module : 사용자 세션의 시작부터 끝까지 가능한 작업을 정의하는 모듈 각 모듈을 활용해 root 접속 제한, 비밀번호 강도 설정, 비밀번호 만료 일자 등을 설정하여 사용자 계정의 보안을 강화한다. -..
방화벽(Firewall)은 외부에서 들어오는 패킷인 인바운드와 서버에서 나가는 패킷인 아웃바운드에 대한 정책을 설정하여 정책에 따라 패킷을 허가하거나 거부하는 방식으로 작동함. 리눅스 방화벽은 크게 리눅스 커널을 제어하여 실제 네트워크 패킷을 필터링하는 방화벽 처리부와 필터링 정책을 추가/제거하는 방화벽 제어부로 구성된다. 내가 사용하는 우분투 리눅스는 데비안 리눅스 기반으로 하는 ufw 방화벽 시스템을 사용한다. nftables 프레임워크에서 필터링을 진행한다. 패킷이 오면 여기서 필터링을 할 지 안 할지 결정함. sudo ufw status 명령으로 방화벽 서비스가 켜져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sudo ufw enable 을 하면 방화벽이 활성상태가 된다. sudo ufw status verb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