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DevOps/리눅스 (36)
나의 잡다한 노트 및 메모
오늘 동료이자 친구의 부탁으로 디렉토리에 접근할 수 있도록 권한을 주려 했는데 잘 안쓰는 명령어다보니 까먹어버렸다. 복기하려고 글을 작성하게 됐다. 디렉토리에서 rwx 의 경우 r은 ls를 할 수 있는 권한이고, w는 write, x는 그 디렉토리에 접근을 할 수 있는지에 관한 권한이다. 1. chmod (Change Mode)파일이나 디렉토리의 권한을 변경하는 명령어입니다. 권한은 읽기(r), 쓰기(w), 실행(x)으로 구성된다.chmod [옵션] 권한 대상 나는 주로 chmod +x 쉘스크립트 파일 이런식으로 자주 쓴다. 다른 방법으로는 숫자로 하는 방법이 있다. chmod 755 를 하게 되면, r이 4, w가 2 x가 1로소유자는 rwx 다 할 수 있고, 그룹이나 others 는 r과 x만 할..
운영체제에 대해 잘 안다는 것은 운영체제가 어떻게 시스템을 관리하고 자원을 배분하는지에 대해 깊이 이해하고 있는 것을 의미합니다.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핵심 개념과 원리에 대해 잘 이해하고 있어야 합니다:1. 커널 구조와 기능커널이 프로세스 관리, 메모리 관리, 파일 시스템 관리, 입출력(I/O) 제어, 보안 등을 어떻게 수행하는지 이해.모놀리식 커널, 마이크로커널 등의 구조 차이와 장단점에 대한 지식.2. 프로세스와 스레드 관리프로세스 생성과 종료, 상태 전환을 포함해 프로세스가 어떻게 생성되고 종료되는지 이해.멀티스레딩의 개념과 장점, 그리고 컨텍스트 스위칭이 시스템 성능에 미치는 영향.프로세스 간 동기화와 통신(IPC) 기법들(예: 세마포어, 뮤텍스, 메시지 큐 등).3. 메모리 관리가상 메모리..
시스템에서 사용 중인 파일 디스크럽트의 정보를 제공한다. cat /proc/sys/fs/file-nr 그 결과로, 1234 0 1048576 이런식으로 나올 수 있는데첫번째 값은 시스템에서 현재 사용 중인 fd의 수, 두번째 값은 시스템에서 할당되지 않은 fd 수, 세번째 값은 시스템에서 사용할 수 있는 최대 파일 디스크립트 수(limit 값) 이다. cat /proc/net/sockstat sockets: used 638 TCP: inuse 19 orphan 0 tw 6 alloc 101934 mem 369 UDP: inuse 10 mem 7 UDPLITE: inuse 0 RAW: inuse 0 FRAG: inuse 0 memory 0 소켓 상태의 현황.mem 필드는 TCP 소켓이 사용하는 ..

LVM (Logical Volume Manager)란?LVM은 Linux 시스템에서 디스크 파티션과 스토리지를 유연하게 관리하기 위한 논리적 볼륨 관리 기술입니다.일반적인 파티션 방식보다 유연성이 뛰어나며, 스토리지 공간의 크기 조정, 스냅샷 생성, 여러 디스크의 통합 관리가 가능합니다.리눅스의 저장 공간을 효율적이고 유연하게 관리하기 위한 커널의 한 부분LVM은 물리적 디스크의 용량을 초과해서 사용할 수는 없습니다. 논리적 이라는 용어가 붙은 이유는 데이터를 다양한 방식으로 관리할 수 있는 유연성을 강조한 것이다.논리적으로 디스크를 여러 개의 볼륨으로 나누거나 동적으로 확장할 수 있다. LVM의 주요 개념Physical Volume (PV)LVM에서 사용하는 기본 단위로, 물리적인 디스크나 파티션을 ..
정의 : OS가 SSD에게 더 이상 사용되지 않는 블록을 삭제할 수 있음을 알리는 기능. # Trim의 작동 원리SSD는 데이터를 저장할 때 플래시 메모리를 사용한다. SSD의 데이터 삭제와 쓰기 작업은 HDD와 다르게 작동한다.HDD에서는 데이터를 직접 덮어쓸 수 있지만, SSD에서는 기존 데이터를 먼저 삭제한 후 새로운 데이터를 써야 한다.이게 SSD의 플래시 메모리 특성때문이다. TRIM 명령어는 다음과 같은 단계로 작동합니다:파일 삭제:사용자가 파일을 삭제하거나 파일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비우면, 운영 체제는 해당 데이터를 더 이상 필요하지 않다고 표시합니다. 그러나 SSD는 여전히 데이터를 유지하고 있습니다.TRIM 명령어:운영 체제는 SSD에게 TRIM 명령어를 보내어, 특정 블록이 더 이상 유..
정의 : 디스크의 일정 부분을 root와 시스템 프로세스에 의해 사용되도록 예약된 공간. # 왜 필요한가?디스크가 완전히 채워지면 시스템의 작동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시스템 파일을 업데이트할 공간이 없으면, 시스템이 불안정해지거나 부팅이 불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는데이러한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 일정량의 디스크 공간을 루트 사용자만 사용할 수 있도록 보호한다. 이 공간 때문에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여유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ext4 파일 시스템을 사용할 때 디스크의 약 5%가 이 공간으로 예약된다. # 조정 방법 tune2fs 명령어를 사용하여 예약된 공간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다. sudo tune2fs -m 2 /dev/sdX1 # 어디에 적용되는가?..
/proc커널과 하드웨어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가상 파일 시스템. 운영체제의 프로세스와 자원 상태를 나타내는 가상 파일 시스템.CPU, 메모리 사용량, 프로세스 정보 등 시스템의 동적 상태가 주로 여기에서 제공된다. 주요 기능 및 사용 사례1. 시스템 정보 제공 /proc/cpuinfo /proc/meminfo /proc/uptime2. 프로세스 정보 제공3. 커널 및 시스템 설정/proc/sys 디렉토리는 커널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 값을 조정하여 시스템 동작을 변경할 수 있다. /sys하드웨어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가상 파일 시스템.주로 디바이스 정보와 설정이 포함된다. 시스템이 부팅될 때 커널이 하드웨어 정보를 인식하고 /sys 파일 시스템에 디바이스 관련 정보를 제공한다...
리눅스에서는 따로 마운트를 해주지 않으면 장착된 디스크를 사용하지 못한다.메뉴얼파티션 설정파티션 설정 명령어: fdisk /dev/sd? (fdisk를 통해 설치된 /dev의 물리적 장치를 위의 명령어로 확인해야한다. )GPT partition 테이블로 설정하는 것 잊지말기. n으로 파티션을 생성하기 전에 GPT 테이블로 설정하자여기서 m을 눌러 메뉴얼을 읽어보는 것이 좋다.디스크 정보 확인 명령어 : fdisk -l 저장장치 포맷포맷 명령어 : mkfs.ext4 /dev/sd? 그리고 마운트를 해준다.(언마운트 하는 명령어는 umount)df -h를 통해 정상적으로 마운트가 됐는 지 확인해보자. 마운트 명령어 : mount /dev/sdd1 /sdd2마운트 포인트를 원하는 곳에 폴더를 생성해 지정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