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잡다한 노트
Ping 이란? 본문
Packet INternet Groper의 약자.
Ping 의 사용 목적 : 네트워크 상에서 특정 장치의 연결 상태와 응답 시간 RTT를 측정하는 도구
ICMP(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동작한다.
먼저, ICMP란?
IP 계층에서 오류 보고 및 진단 목적으로 사용되는 프로토콜이다.
Type과 Code로 메시지 유형을 구분한다. 예를 들어, Type=8 -> Echo Request, Type=0 -> Echo Reply 이다.
포트 번호를 사용하지 않으며, IP 헤더에 직접 캡슐화된다.
Ping 동작 단계
1. Echo Request 전송
출발지가 목적지로 ICMP Echo Request 패킷을 생성한다.
2. 라우팅
패킷은 라우터를 거쳐 목적지 IP 주소로 전달된다.
각 라우터는 TTL(Time-To-Live) 값을 1씩 감소시키며, TTL이 0이면 패킷을 폐기하고 ICMP Time Exceeded 메시지를 반환한다.
3. Echo Reply 수신
목적지가 Echo Request를 받으면 ICMP Echo Reply 패킷을 회신한다.
4. 출발지는 Echo Reply를 받아 RTT를 계산한다.
이런 단계를 거쳐, 연결 상태를 확인하고, 응답 시간을 측정하며 패킷 손실을 감지할 수 있다.
PING은 차단될 가능성이 있다. 내가 알기로는 윈도우에서도 기본적으로 PING이 차단되는 것으로 알고 있어 PING을 받으려면 설정을 해줘야하는걸로 알고 있다.
ICMP가 차단된 환경에서는 TCP Ping(예: telnet, nc), HTTP Ping을 사용한다.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Spine and Leaf 네트워크 아키텍쳐 (0) | 2025.01.16 |
---|---|
North-South 트래픽, East-West 트래픽 (0) | 2025.01.16 |
전통적 네트워크 설계의 관행 (0) | 2025.01.16 |
회사에선 보통 하나의 서브넷에서 클러스터를 구성하는 편이니? (0) | 2025.01.16 |
Binding 이란? (0) | 2025.0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