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잡다한 노트
AWS의 구조 본문
각 지역별로 리전이 있고 가용영역들이 존재한다.
리전에 속해있지 않은 IAM, Amazon CloudFront.
리전안에 있지만 가용영역에는 속해있지 않은 vpc, S3가 존재하고, 가용영역에는
RDS와 EC2가 있다.
리전이란 전세계에 분포돼있다. 리전은 AWS의 서비스가 제공되는 서버의 물리적 위치이다.
각 리전에는 고유의 코드가 부여된다. 예시로 서울 리전은 ap-northeast-2 이다.
리전별로 가능한 서비스가 다르다.
리전을 선택할 때 고려할 점
1. 지연속도
2. 법률(데이터, 서비스 제공 관련)
3. 사용 가능한 AWS 서비스
가용영역(Availability Zone)
리전의 하부 단위. 하나의 리전은 반드시 2개 이상의 가용영역으로 구성.
간단하게 생각하면 데이터 센터라고 생각하면 된다.
가용영역간의 연결은 매우 빠른 전용 네트워크로 연결돼있다.
반드시 물리적으로 일정 거리 떨어져 있다. 왜냐면 여러 재해에 대한 대비 및 보안.
각 계정별로 AZ의 코드와 실제 위치는 다름 왜? 불균형해소와 보안을 위해
엣지로케이션
AWS의 CloudFront(CDN) 등의 여러 서비스들을 가장 빠른 속도로 제공하기 위한 거점
전 세계에 여러 장소에 흩어져 있다.
임시 데이터 저장소라고 간단하게 생각하자.
AWS에는 서비스가 제공되는 지역의 기반에 따라 글로벌 서비스와 리전 서비스로 분류
글로벌 서비스 : 데이터 및 서비스를 전 세계의 모든 인프라가 공유
CloudFront, IAM, Route53, WAF
지역서비스 : 특정 리전을 기반으로 데이터 및 서비스를 제공
대부분의 서비스, S3
Amazon Resource Name (ARN) : AWS의 모든 리소스의 고유 아이디
'DevOps >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config (0) | 2024.08.31 |
---|---|
페더레이션 사용자와 AWS SSO (0) | 2024.08.22 |
AWS SNS의 발행 요청과 전송 (0) | 2024.08.07 |
클라우드 컴퓨팅의 모델 (0) | 2022.04.29 |
클라우드 컴퓨팅이란? (0) | 2022.04.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