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잡다한 노트 및 메모
인프라에서 가상화라는 단어... 본문
가상화는 물리적인 장비(서버, 스토리지, 네트워크 등)를 논리적으로 분리하여 여러 개의 독립적인 환경(가상 머신, 가상 스토리지 등)을 만들어 내는 기술
1. 물리적 장비와 가상화
- 물리적 장비:
전통적으로 한 서버에는 하나의 운영체제와 애플리케이션만 실행했습니다. 이 경우 서버의 모든 자원이 한 가지 용도로만 사용되죠. - 가상화의 개념:
하나의 물리 서버를 여러 개의 가상 머신(Virtual Machine) 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각 가상 머신은 독립적으로 운영체제와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어, 물리 서버의 자원을 여러 용도로 동시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2. 가상화의 장점
- 자원 효율성:
물리적 서버 한 대를 여러 가상 머신으로 분할하면, 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즉, 한 서버의 CPU, 메모리, 스토리지 등을 여러 용도로 동시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 비용 절감:
물리 서버의 수를 줄이고, 유지보수 비용과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습니다. - 유연성 및 확장성:
필요에 따라 가상 머신을 쉽게 추가하거나 삭제할 수 있고, 자원 배분도 동적으로 조정할 수 있어 환경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습니다. - 격리와 보안:
각 가상 머신은 서로 격리되어 있어 한 머신에서 발생한 문제가 다른 머신에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3. 일상적인 예시
예를 들어, 하나의 PC를 여러 개의 사용자 계정으로 나눠서 각각 독립적인 작업 환경을 제공하는 것과 비슷합니다. 다만, IT 인프라에서는 하나의 물리 서버 내에서 여러 가상 머신이 각각 다른 운영체제와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방식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Infra' 카테고리의 다른 글
DMZ용 가상 스위치, Trust용 가상 스위치 (0) | 2025.03.30 |
---|---|
HBA ( Host Bus Adapter ) (0) | 2025.03.29 |
NVMe M.2 SSD 방열판 관련 (1) | 2025.03.28 |
광파이버의 종류와 MPO 케이블, 브레이크아웃 케이블 (0) | 2025.03.23 |
Hang up 이란? (0) | 2025.0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