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잡다한 노트 및 메모

UTC와 Unix Time 본문

운영체제

UTC와 Unix Time

peanutwalnut 2025. 3. 20. 10:57

1. UTC (Coordinated Universal Time)

  • 정의:
    UTC는 "협정 세계시"라고 하며, 전 세계에서 공통적으로 사용하는 표준 시간 체계입니다.
  • 특징:
    • 국제 표준: 전 세계의 시간대를 조정하는 기준이 됩니다.
    • 윤초(Leap Second): 지구 자전의 불규칙성을 보완하기 위해 때때로 1초씩 추가되거나 제거됩니다.
    • 표준화: ISO 8601 같은 국제 표준에 따라 날짜와 시간을 표현하는 기준으로 사용됩니다.
  • 컴퓨터와의 관련성:
    • 서버, 네트워크 장비, 그리고 운영체제는 보통 내부적으로 UTC를 기준으로 시간을 기록하고 관리합니다.
    • 사용자 인터페이스나 로그, 타임스탬프 등에서 각 지역의 시간대에 맞춰 변환하여 표시하기도 합니다.

2. Unix Time (유닉스 타임 또는 Epoch Time)

  • 정의:
    Unix time은 1970년 1월 1일 00:00:00 UTC를 기준으로 경과한 초를 정수 형태로 표현한 시간입니다.
  • 특징:
    • 간단한 계산: 두 Unix 타임 값을 빼면 두 시간 간격(초 단위)을 쉽게 계산할 수 있습니다.
    • 일관성: 시스템 간 시간 동기화에 용이하며, 프로그래밍 언어나 데이터베이스에서 널리 사용됩니다.
    • 윤초 무시: Unix time은 일반적으로 윤초를 반영하지 않고 단순히 초 단위의 누적값으로 계산됩니다.
  • 컴퓨터와의 관련성:
    • 파일 시스템의 타임스탬프, 로그 기록, 데이터베이스의 시간 값 등에 활용됩니다.
    • 프로그래밍 언어(C, Python, Java 등)에서 날짜와 시간을 다룰 때 기본 자료형으로 사용됩니다.

3. 컴퓨터 내부에서 시간 관리의 필요성

  • 동기화:
    네트워크 상의 여러 시스템들이 같은 시간 기준(보통 UTC)을 사용하면, 로그 분석이나 이벤트 순서 확인 시 혼동을 줄일 수 있습니다.
  • 표준화된 기록:
    파일 생성, 수정 시간 및 시스템 이벤트 기록 등에 통일된 기준을 사용함으로써 데이터 무결성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 시간대 변환:
    내부에서는 UTC로 저장하고, 사용자에게 보여줄 때 각자의 시간대(Local Time)로 변환하는 방식으로 운영됩니다.

'운영체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cpu 사용률이 낮다는 것은? cpu 집약적 작업, io 집약적 작업  (0) 2025.02.28
Page Fault와 Thrashing  (0) 2025.01.26
Unix Domain Socket  (0) 2025.01.20
IPC 방식에 따른 속도 비교  (0) 2025.01.20
Ephemeral port란?  (0) 2025.0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