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잡다한 노트
3계층과 IP 본문
3계층에서 하는 일
3계층은 다른 네트워크 대역 즉, 멀리 떨어진 곳에 존재하는 네트워크까지 어떻게 데이터를
전달할지 제어하는 일을 담당.
발신에서 착신까지의 패킷의 경로를 제어
IP주소 : WAN에서 통신할 때 사용하는 주소
3계층 프로토콜
ARP 프로토콜 : IP주소를 이용해 MAC주소를 알아온다.
IPv4 프로토콜 : WAN에서 통신할 때 사용한다.
ICMP 프로토콜 : 서로가 통신되는지 확인할 때 사용한다.
Classful IP 주소 (낭비가 심한)
IP주소는 10진수로 표현된다. .으로 구분되는 숫자들은 1바이트까지 사용할 수 있어서
2의 8승인 0 ~ 255까지만 10진수로 표현이 된다.
A클래스 첫번째 필드까지는 네트워크 대역을 구분하는데 사용한다. 그 외 나머지는
네트워크 대역 안에 있는 사용할 수 있는 컴퓨터들의 개수가 된다. 시작주소가 0.0.0.0
마지막 주소가 127.255.255.255
B클래스 두번째 필드까지 구분하는데 사용. 시작주소가 128.0.0.0 마지막 주소 191.255.255.255
1,2번째 필드는 네트워크 대역을 구분하는데 썼으니 사용할 수 있는 컴퓨터들의 개수는
2^16이 된다.
C클래스 세번째 필드까지 구분하는데 사용. 시작 주소가 192.0.0.0 마지막 주소 223.255.255.255
D클래스 멀티캐스트를 이용하는데 쓰임
E클래스 실험용
Classless IP 주소
classful로는 ip주소가 부족해서 .으로 구분되는 식으로 하지 말고 임의로 구역을 정함.
서브넷 마스크
클래스풀한 네트워크 대역을 나눠주는데 사용하는 값.
어디까지가 네트워크 대역을 구분하는데 사용하고 어디서부터 호스트를 구분하는데 사용하는지 지정
255.255.255.192 -> 11111111.1111111.11111111.11000000
2진수로 표기했을 때 1로 시작, 1과 1 사이에는 0이 올수 없는 규칙이 있다. 1에서 0으로 바뀌는 지점이
네트워크 대역과 하나의 네트워크 대역에 속한 pc의 수를 구분하는 지점이다.
사설 ip와 공인 IP
현재 이 방법과 classless한 방식을 같이 쓰고 있다. 이렇게 부족한 ip를 최대한 사용하려고 하고 있다.
사설 ip는 같은 네트워크 대역을 사용하는 것끼리 구분하는 것이고 공인 ip는 외부와 통신할 때 사용한다.
그래서 외부에서 같은 네트워크 대역의 기기들을 살피면 다 같은 ip로 보게 된다.
사설ip를 공인ip로 바꿔주는 것을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라고 한다. 이건 가정에서
공유기가 이 일을 해준다.
NAT는 특정 주소를 다른 것으로 바꿔주는 기술이다.
실제 인터넷 세상에서는 공인ip로만 통신
특수한 ip 주소
0.0.0.0 : Wildcard
127.0.0.1 : 나 자신을 나타내는 주소
게이트웨이 주소 : 일반적으로 공유기의 ip를 쓴다. 외부로 나가는 문을 알려주는 주소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패킷(packet) (0) | 2023.03.08 |
---|---|
소켓 (0) | 2023.03.08 |
2계층 프로토콜 (0) | 2022.08.31 |
네트워크 모델 (0) | 2022.08.31 |
네트워크란 무엇인가? (0) | 2022.08.31 |